8.15 광복절은 우리에게 어떤날일까, 광복절의 두가지 의미

8.15 광복절의 두 가지 의미

안녕하세요. '동그란 맛' 입니다.

 

여러분 혹시 8월 15일이 무슨 날인지 모르시는 분 없겠죠?

 

바로 광복절입니다. 

 

기나긴 일제의 지배에서 해방된 역사적인 날이자, 모두가 알고 있는 국경일입니다.

 

1. 광복절은 우리에게 어떤 날 일까?

광복절은 어떤 날이라고 생각하십니까? 그냥 빨간 날? 쉬는 날?

 

대부분의 사람들이 쉬는 날로만 생각하시고 의미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보거나 큰 의미를 두는 사람이 없을 것 같습니다.

 

학생들은 학교 쉬는 날? 직장인들은 출근 안 하는 날? 의 의미가 더욱 크게 가지고 있는 듯합니다.

 

일제강점기 35년 동안 바라고 바랬던 그날의 의미를 우리가 그저 휴일이라고만 생각하고 있는 건 아닌가 반성해야 할 것 같습니다.

 

우리 아이들에게 어떻게 하면 광복절을 가슴에 담아줄 수 있을까요

 

광복의 날 말 그대로 빛을 다시 찾은 날입니다.

 

2. 광복절의 뜻은?

빛光 회복할復

 

빛을 다시 회복했다는 의미입니다.

 

광복절은 크게 두 가지의 날을 기념을 합니다. 

 

첫 번째는 1945년 8월 15일 일제로부터 독립한 해방의 날을 의미합니다.

 

이전까지 일제에 의해서 통제당하던 언론, 출판, 집회의 자유 등 수많은 자유를 되찾은 날입니다.

 

우리글, 우리말 우리 역사를 되찾은 날입니다.

 

그렇다면 두 번째 의미는 무엇일까요?

 

두 번째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날을 의미하는 광복절입니다.

 

우리가 어렵고 힘들게 일제로부터 광복을 이루었고, 우리 민족은 드디어 해방조국에 독립국가를 건설할 수 있다는 희망에 부풀었습니다. 하지만 이것도 쉽지가 않았습니다.

 

광복 직후에 북쪽에서는 소련군이, 남쪽에서는 미군이 밀고 들어오면서 자기들끼리 38선을 그어버린 것입니다.

 

우리의 의사와 관계없이 38선이 생기고 3년이 지나고 광복한 지 3년 뒤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되었습니다.

 

북한은 한 달 늦은 9월 9일에 북한 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.

 

대한민국 정부 수립 1년 뒤 우리나라는 4대 국경일을 정하게 됩니다.

 

그렇게 하여 공식적으로 8월 15일이 광복절이라고 정하게 됩니다.

 

일제로부터 해방된 1945년 8월 15일 광복과,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경축하는 날로 두 가지의 의미가 담겨있는 날을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정한 광복절입니다.

 

광복의 그날 해방된 조국을 뒤흔들었던 만세의 함성처럼 지금부터라도 우리가 광복의 날에 기쁜 마음으로 다 함께 광복절의 의미를 다시 되새기고, 기념했으면 좋겠습니다.

 

설민석 선생님 말씀대로 즐기며 기억하게 되면 오래오래 잊히지 않는다고 하니 우리 함께 그 의미를 알면서 휴일을 즐겼으면 좋겠습니다.

 

그리고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고 많은 노력이 있었다는 것도 꼭 잊지말고 기억하면 좋겠습니다.

 

감사합니다.

이 글을 공유하기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